변수를 지정하고 데이터타입을 확인하고, 비교연산자를 연습하도록 하겠습니다.
1. 변수선언
각 변수를 선언해주어 객채를 생성해주도록 하겠습니다.
a = 5 # int
b = 4 # int
c = 7.5 # float
d = None # none
e = 'hello' # str
a와 b는 int(정수)
c는 float(실수)
d는 none으로 아무것도 없는 객체
e는 str(문자형) 으로 지정해줍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e에 str을 선언해줄 때 'hello' 와 같이 따옴표를 사용해주었다는 것 입니다.
만약, 따옴표가 없이 지정해준다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생성됩니다.
>> e = hello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C:\Users\dohee\AppData\Local\Temp/ipykernel_16396/3060199975.py", line 1, in <module>
e = hello
NameError: name 'hello' is not defined
여기서 NameError: name 'hello' is not defined 는 NameError에러로 'hello' 를 e에 입력할 수 없다는 뜻 입니다.
숫자형(int, float 등) 에서는 따옴표가 없어도 무방하지만, 문자형(str)에는 꼭 따옴표를 넣어주셔야 합니다.
만약 숫자이지만 문자형으로 지정해주고 싶다면, a = '1'과 같이 사용해주시면 되겠죠?
자, 이제 앞으로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객체를 하나하나 지정해주었기 때문에 (데이터)타입을 확인할 수 있지만, 수집한 데이터거나 처음보는 데이터의 경우 타입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타입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비교연산자, 파이썬문법 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타입을 꼭 확인해주어야 합니다.
특히, 숫자형으로 되어있지만 타입은 문자형으로 되어있다던가, 정수형태인데 실수형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간혹 발견됩니다. 타입을 확인하고 분석이나 모형에 따라 변화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a, b, c 의 타입을 이미 알고 있지만,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 type(a)
Out: int
in: type(b)
Out: int
in: type(c)
Out: float
in: type(d)
Out: NoneType
in: type(e)
Out: str
앞에서 확인하였던 타입과 같이 출력되었습니다.
앞장에서 배웠던 print함수를 같이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 : print(type(a))
out : <class 'int'>
in : print(type(e))
out : <class 'str'>
print와 type()을 함께 써주어 타입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2. 비교연산자
앞에서 만들었던 변수를 활용하여 비교연산자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 = 5 # int
b = 4 # int
c = 7.5 # float
d = None # none
e = 'hello' # str
이제 비교연산자를 만들어보면서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 비교연산자
print(a>b) # a는 b보다 크다
print(a<b) # a는 b보다 작다
print(a>=b) #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print(a<=b) #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print(a==b) # a와 b는 같다
print(a!=b) # a와 b는 다르다
위 6개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비교연산자 입니다. print 함수를 선언하였으니 출력된 값을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 비교연산자 출력
in : print(a>b)
>> True
in : print(a<b)
>> False
in : print(a>=b)
>> True
in : print(a<=b)
>> False
in : print(a==b)
>> False
in : print(a!=b)
>> True
출력된 내용은 True와 False로 구분되었습니다. print 함수를 활용하지 않아도 출력 및 반환이 가능합니다.
# 비교연산자 반환(out)
in: a > b
Out: True
in: a == b
Out: False
여기서 다양한 방법으로도 응용이 가능합니다.
# 비교연산자 응용
a = 5 # int
b = 4 # int
x = a>b # bool 형태의 true
y = a!=b # bool 형태의 true
print(x==y)
>> True
print(x<y)
>> False
비교연산자 응용을 해석하자면 a와 b에 변수를 선언해주고 x, y에 비교연산자 출력값을 넣어줍니다.
print 함수를 사용해 x와 y의 연산자까지 확인하였습니다.
3. 변수(객체)에 수식 걸어주기
변수에 대입하여 다양한 수식도 가능합니다.
a = 5
print (a + 6)
>> 11
print (a * 6)
>> 30
print (a / 6)
>> 0.8333333333333334
타입을 확인하고, 비교연산자와 응용까지 진행하였습니다.
이 외의 궁금한 사항은 아래 댓글 또는 메일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문자열 조작, 문자열 추가, str, format, split 활용, 문자열 추출, 특정 문자 추가, 조건분리 (0) | 2022.06.24 |
---|---|
[python] replace 문자열 조작, 문자열 치환, 문자열 변경 (2) | 2022.06.22 |
[python] 문자열조작, 문자열 인덱스, 문자열 찾기, 문자열 슬라이싱 (0) | 2022.06.22 |
[Python] 기본 타입(숫자형, 정수형) / print 익히기 및 응용 / 파이썬 print (0) | 2022.06.21 |
[Python] 버전 확인, pandas(판다스) 설치하기, 라이브러리 설치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