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Python] 기본 타입(숫자형, 정수형) / print 익히기 및 응용 / 파이썬 print
도히츄
2022. 6. 21. 13:47
객체의 기본 타입인 숫자형과 정수형을 살펴보고, print 함수를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습 프로그램 및 버전 : spyder(python3.9)
1. 객체 생성
먼저 객체를 생성해주도록 하겠습니다.
a = 10 # int (정수)
b = 15.2 # float (실수)
실행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in >> a
out >> 10
in >> b
out >> 15.2
a 를 입력해주면, a의 값인 10이 출력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2. print 함수 활용
이제 print 함수를 이용하여 a와 b를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a, b)
>> 10 15.2
print(a, b)를 입력하면 a값인 10이 출력되고, b의 값인 15.2가 출력됩니다.
위에서 진행하였던 'a'를 입력했을 때와 다른 점이 있습니다.
1. out 문구가 없음
2. 점은 콤마로 구분하지 않고 'space' 형식으로 띄어져서 출력
print 함수를 쓰는 자이에 따라 두가지의 다른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print 함수는 다양한 문장과 응용이 가능합니다.
3. print 함수 응용 - 1
문장을 이용하여 print 함수를 응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n >> print("a의 값은?", a)
a의 값은? 10
print( " ____ ", 객체 ) 이렇게 객체 앞에 쌍따옴표와 문구를 넣어주면 됩니다.
추가적으로 print 함수는 계산도 가능합니다.
in >> print("a + b의 값은?", a+b)
>> a + b의 값은? 25.2
in >> print("a * b의 값은?", a*b)
>> a * b의 값은? 152.0
이렇게 다양한 수식을 이용하여 print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print 함수 응용 - 2
마지막으로 sep과 end를 추가하여 print 함수를 응용하도록 하겠습니다.
in >> print(a, b) # 구분자 없이 스페이스 형태로 출력
>> 10 15.2
in >> print(a, b, sep=",") # 구분자를 추가하여 출력
>> 10,15.2
in >> print(a, b, sep=",", end="!!") # 구분자를 추가하고 end 추가
>> 10,15.2!!
print 함수를 활용하여 a,b 를 다양한 형태로 부르고 응용할 수 있습니다.
3번과 4번을 응용하면 다음과 같은 응용도 가능합니다.
in >> print("a의 값은 " , a, sep=",")
>> a의 값은 ,10
in >> print( a, b, sep=" and " , end="!")
>> 10 and 15.2!
in >> print("a*b는? " , a*b, end=" 입니다!!")
>> a*b는? 152.0 입니다!!
이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객체를 불러오고 print 함수를 응용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